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SSAFY) 13기 모집 마감이 일주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슬슬 지원 고민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하라 시기가 다가온 거 같습니다.
지원을 마음 먹으신 분들께선 에세이를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적성 진단은 준비해야할지 고민이 많으실거라 생각됩니다.
저또한 7기부터 9기까지 총 3번에 걸쳐 지원했었고
SW적성진단, 코딩테스트를 둘 다 응시했던 경험을 토대로 나름의 팁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SW 적성진단 (비전공, 마이스터고)
SSAFY 적성진단은 수리/추리, Computational Thinking 총 2과목의 시험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수리/추리
흔히 소금물 농도 구하기, 속력 구하기, 도형 추리, 명제같은 문제들을 만나보실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푸는 것이 요구되는 시험입니다.
많은 분들이 삼성 적성진단인 GSAT 문제집을 통해 대비하고 있고, 실제 합격생분들도 GSAT 문제집으로 도움을 받고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굳이 안풀어도 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어떤 유형들이 나오는지, 시험 환경에 익숙해지는 것 또한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맛보기로라도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리는 편입니다.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터 사고력을 확인하는 문제들로 나온다지만,,
개인적으로 느꼈을 땐 초등수학 8단원 문제 푸는 방법 찾기와 비슷한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요즘도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노가다로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지만 숫자가 커지면 시간 안에 풀기 힘든?? 문제들이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며
답을 찾기 위한 규칙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됩니다.
CT를 연습했던 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백준, 프로그래머스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손으로 풀어보거나, 규칙을 찾는 연습을 주로 하신다고 합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6
https://www.acmicpc.net/problem/9095
위처럼 점화식을 요구하는 문제들을 풀어보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코딩을 한다기보단 어떤 규칙이 숨어있는지를 파악해보자
코딩테스트
SSAFY에서는 SWEA D1 ~ D3 까지의 난이도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D3는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다 풀어볼 필요까진 없는 거 같았습니다.
기본적으로 구현, 완전 탐색, dfs, 이분 탐색이 가능하다면 코딩테스트가 크게 어렵진 않다고 생각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원자 수준도 많이 높아졌고 9기와 13기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합격 후 우리 반 백준 티어를 생각하면 필자가 실버2였는데 가장 낮은 티어에 속하긴 했습니다.
그래도,, 최단 거리,, 이런 문제는 안나오지 않을까,, 싶고,,
백준, 프로그래머스보단 SWEA 문제를 푸는 것을 추천합니다.
SSAFY 코딩테스트를 해당 플랫폼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문제 입출력 형식 또한 SWEA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이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처음 보시는 분들은 백준과 비슷하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엄연히 달라, 나중에 코드 수정하시는 분들 분명히 계십니다.
https://swexpertacademy.com/main/main.do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에세이 작성
12기 모집 홍보 크루로 활동하면서 에세이 첨삭을 받았고, 최종 합격까지 도와드렸던 분들도 있었습니다.
가장 많이들 실수한다고 느꼈던 부분은
본인의 역량을 어필하는 것 (전공, 비전공 둘 다)
SSAFY는 엄연히 교육 기관이며 다른 부트캠프, 국비지원과 다르게 1년이라는 긴 시간을 달릴 수 있는 지원자를 선호합니다.
혹여나 SW 경험을 적으라고 하더라도 역량 어필이 아닌 경험에서 느낀 부족함을 싸피에서 보충하고 싶다는 스토리텔링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1. 왜 하필 싸피인지?
2. 왜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3. 개발자가 되기 위해 무엇을 했는지?
4. 그 안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5. 싸피에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500 ~ 600자라는 짧은 글 안에 다 녹여내긴 분명 힘듭니다!
이 중에서라도 몇 개를 골라 본인의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왜 1번과 5번 항목이라고 생각합니다.
PT면접
PT 면접 대비가 가장 애매~한 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다시 준비해야한다면??
1. IT 기술 이해
2. 일상 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방법
특히 2번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볼 거 같습니다.
당장에 두각되고 있는 기술만하더라도 생성형 AI, 딥페이크와 같은 기술들이 있고
이를 어떻게 이용하여 서비스를 만들거나 개선할 수 있을지 가볍게라도 고민해본다면 PT 면접은 생각보다 난이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사실 인터뷰를 많이 준비해가지 않았고 면접관분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참고하긴 어렵겠지만,
저는 역량이 1도 없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SSAFY에 대한 간절함과 1년을 포기하지 않고 달릴 수 있다는 열정을 주로 표현했습니다.
인터뷰 시간이 짧은 편도 아니었고 동기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지원자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질문을 주신다 느낀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본인을 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말 더듬어도 괜찮고 실수하셔도 됩니다. 저도 잠깐 침묵하고 합격자들도 다 실수하고 그랬습니다. 위축되지만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하고 수료한지 거진 1년이 다 되어가지만 아직도 싸피를 하기 잘했다는 생각이 가득합니다. 준비 잘 하셔서 꼭 합격하시면 좋겠습니당!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9기 수료 후기 (7) | 2024.10.29 |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13기 모집!! (SSAFY 13기) (2) | 2024.10.21 |

IT
github : https://github.com/HanSungHyeon